반응형
▮ OLED 소자 수명
1) OLED 소자의 휘도 수명 기준은 초기 휘도 대비 50%의 휘도(평균)로 감소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
2) OLED 소자는 화소(Pixel)가 독립적으로 발광
▶ 화소별 열화 정도 차이 발생
▶ 휘도/색감 편차 발생
3) Backlight를 사용하는 LCD와 달리 OLED는 화소별/재료별 수명이 동일하지 않음
▶ 잔상 발생 ex) Red에 많이 노출된 경우 Red 소자의 열화로 휘도가 낮아지게 됨
4) 소자 수명 고려 시 잔상도 고려될 필요성 有
▮ OLED 열화
1) OLED 소자는 발광효율을 높이기 위해 다층 구조로 되어 있음(전자/정공)
2) 재료 자체의 불안정성은 전자/정공이 서로 반응하여 발광하지 않도록 함
3) 다층막 구조로 유기 박막과 투명 양극전극 및 금속 음극전극 사이 계면 접착력 문제 발생 가능성 有
4) 구동 전압 및 온도가 높은 경우 계면의 전압 차이 및 서로 다른 열팽창 계수로 층간 분리 발생
▶ 소자 열화 발생
반응형
'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차/Tea] 중국차 용어 (0) | 2023.09.16 |
---|---|
[Display] 3. 소자 신뢰성 (0) | 2023.08.19 |
[Display] 2. TFT 반도체 종류 (0) | 2023.08.15 |
[Display] 1. OLED는 무엇인가? (0) | 2023.08.14 |